[이슈+] 튀르키예·시리아 역대 최대 강진…사망자 1만5천명 넘어<br /><br /><br />튀르키예와 인접국 시리아에서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가파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, 어제 급파한 대한민국 해외 긴급구호대가 본격적으로 구조활동에 투입됐습니다.<br /><br />생존자를 구하기 위한 필사의 구조 작업이 계속되고 있지만 골든 타임이 이미 지났다는 분석도 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박청웅 세종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7.8 규모의 첫 지진이 발생한 지 이제 76시간이 지났습니다. 사망자가 천명 단위로 늘어나는 등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이제는 전망도 점차 비관적으로 바뀌고 있는데요. 현재 상황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br /><br /> 특히 여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로 매몰됐던 한 20대는 자신이 붕괴건물 2층에 있다고 동영상을 찍어서 SNS에 올렸고, 이를 통해 구조되는 일도 있었습니다. 워낙 피해 지역이 넓다 보니 이런 사례들도 더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?<br /><br /> 하지만 이조차도 워낙 강추위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, 현재는 생존을 했더라도 저체온증으로 사망할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현재 저체온증 사망 가능성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래도 또 희망을 걸어볼 만한 소식은, 전 세계 65개국에서 구조대를 급파했다는 겁니다. 우리 정부에서 급파한 구조대도 본격 구조활동에 투입됐는데요. 구조활동에 속도가 붙는다면 기적적으로 생존자들이 구조될 가능성도 커지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일단 긴급구호대가 무사히 피해 지역에 도착하긴 했습니다만, 구조활동 환경이 굉장히 열악해 보이는 게 사실입니다. 교수님의 경우에도 과거 긴급구호대로 파견된 적이 있으신데, 현 상황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특히 우리 구호대의 경우 하타이 지역에 배정받은 것으로 전해졌는데요. 70대 생존자 1명을 구조했다는 소식도 들려왔습니다. 이곳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구조 활동도 시급하지만, 생존자들에 대한 구호 활동도 절실한 상황입니다. 물과 연료, 전력까지 동나면서 세계보건기구에선 생존자 2차 재난 위험을 경고하고 나섰는데요. 이러다간 생존자들도 생사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거든요?<br /><br /> 또 여진이 계속 이어지면서 산사태 등의 2차 피해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습니다. 특히 지진으로 흙이 액체처럼 바뀌는 액상화 가능성도 있다고 하던데요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짚어볼 건, 왜 대지진 위험국가에서 내진 설계를 제대로 하지 않았을까란 점입니다. 재앙의 숨은 씨앗으로 꼽히는 게 바로 부실 건축인데요. 알고 보니 2007년에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고도 불법 건축된 건물이 대다수였다고 하더라고요?<br /><br />#튀르키예 #시리아에서 #강진 #사망자 #골든타임 #한국긴급구호대 #구호활동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